신장내과는 신장 질환과 기능에 대해 전문으로 연구하는 내과의 한 분야로, 전해질 이상과 고혈압, 신대체 요법(혈액 투석)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신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담당합니다. 우리나라에 흔한 신장질환으로는 사구체신염, 당뇨병에 의한 신장염, 고혈압성 신경화증이 있으며 이러한 질환들에 대한 적극적 면역 억제 요법, 사구체 경화증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내과적 약물요법, 고혈압의 적극적인 치료가 일반적인 치료방법입니다. 또한 신장질환이 진행하여 신기능이 감소하게 되면 신장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투석치료를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진료과입니다.
만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법 중의 하나인 혈액 투석을 받는 곳을 말합니다.
혈액 투석은 혈액 속의 노폐물(섭취한 음식물의 대사산물)과 수분을 반투막(인공 신장기)를 통해 여과하여 체외로 배설 시키는 치료 방법을 말합니다.
만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법 중혈액투석은 반투과성 막의 여과장치(인공 신장기)를 이용하여 몸속의 혈약을 제외로 끌어낸 후 반투과성 막의 한쪽으로는 혈약을, 그 반대쪽으로는 투석액을 통과시켜 혈약내의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을 제거 시킨후 깨끗해진 혈액을 다시 넣어 주는 것입니다.
요독소를 제거합니다
신장에서 체외로 배설시키는 노폐물을 제거합니다.
필요없는 여분의 수분을 제거합니다
신장에서 소변으로 배설시키는 수분을 제거합니다.
전해질을 조절합니다.(전해질 평형)
나트륨, 칼륨, 칼슘, 인 등의 혈약중에 있는 전해질이 과도한 경우 토석액을 이용하여 배설하고, 부족한 경우에는 투석액으로 보충을 해줌으로써 체액으로 조성과 비슷한 정상 범위 내로 조절합니다.
혈액 산도를 조절합니다. (산~염기 평형)
혈약이 정상적인 상태 약 알칼리성이 있도록 혈중의 산을 제거하면 알칼리는 투석액을 통해 보충함으로써 산-염기 평형을 이룹니다.